기획보도
(신년기획)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2016.01.01
1,882
※ 아래는 한겨레 신년기획 연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에 실린 기사 전문입니다.
대학내일 20대연구소와 한겨레신문사가 공동기획ㆍ조사한 ‘전국 20대 취업·주거 실태 및 사회 인식조사’ 보고서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시리즈 전편 보기 CLICK >>
[2015.12.31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① 청년 200인보
- 1) 청년 200명에게 물었습니다…최근 한달새 느꼈던 감정은?
- 2) “개인 노력이 문제? 사회 구조가 바뀌어야”
- 3) 금수저와 흙수저 ‘삶의 무게’가 다르다
- 4) 공부하고…취업하고 싶지만…청년세대 ‘끊어진 희망벨트’
[2016.01.03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② 탈조선 난민들
- 1) 장강명 “지금 청년들은 한국서 태어난 것 자체가 ‘핸디캡’”
- 2) 호주 이민법 강화로 ‘영주권 별따기’…워홀러들 돈만 벌고 오는 경우 많아
- 3) 경쟁사회가 끔찍해…22살 민아씨 ‘이민프로젝트’
- 4) ‘탈조선’…29살 청년은 호주서 ‘농장을 탄다’
- 5) 청년에게 한국은 ‘설국열차’…이국땅 와서 ‘저녁있는 삶’
[2016.01.10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③ 평생 월세세대의 등장
- 1) ‘2평 월세큐브’에 갇힌 청춘의 꿈
- 2) 주거정책에 청년은 없다…‘맞춤형 임대’ 보급해야
- 3) 부모 경제력 따라 10평 빌라 - 30평 아파트
- 4) “주거 불안” 청년 대부분 부모의 경제력 중간이하
[2016.01.12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④ 고용신분제 사회의 서막]
- 1) 너는 스펙 쌓을때 난 알바…부모경제력이 취업 가른다
- 2) 취업 9종세트?…업무 무관·고비용 스펙 요구 없애야
- 3) 명문대생 취업 하향지원…연쇄작용에 번지는 비명
- 4) 돈벌며 졸업한 20대 “자소서 쓰려고 보니 알바 경험밖에…”
[2016.01.17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⑤ 일해도 가난한 청년들]
[2016.01.20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⑥ '청년 구하기' 나선 일본]
- 1) 20대 빈곤이 40대 빈곤으로…‘낙오 청년’ 구하기 나선 일본
- 2) 전공투 뒤 40년만에…20대 운동단체 ‘실즈’의 출현
- 3) ‘좋아질 수 없다는 확신 있어서’ 되레 행복…그러나 한국처럼 심한 수저계급론은 없다
- 4) ‘신졸채용’ 열차 고되지만…탈일본 0명, ‘청년’ 하면 “가능성”
[2016.01.24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⑦ 20대 좌-우에 길을 묻다]
[2016.01.25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⑧ 응답하지 않는 헬정치]
[2016.01.31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⑨ 전환을 실험하는 청년들]
- 1) 동네 경제권…공간 공유…청년공동체…고민 공유…청년 스스로 전환을 실험한다
- 2) 취업·연애…‘좀 놀아본 언니들’이 고민 공유
- 3) 청유·민유 등 알바 권리찾기서 일자리·주거 대안까지
[2016.02.02 게재]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⑩ 다시 청년의 시선으로]
Contents No
SPR2016-01
Summary
작년 한 해, 청년세대를 주축으로 온라인을 뜨겁게 달군 키워드가 있다면 단연 ‘헬조선’입니다. 마치 지옥에서 사는 것처럼 한국사회에서 살아가기 어렵다는 뜻의 ‘헬조선’과 금수저, 흙수저로 사회 계층을 구분 짓는 이른바 ‘수저계급론’의 등장은 작금의 청년세대가 얼마나 힘겨운 일상을 마주하고 있는지 짐작하게 하는 용어입니다. 이에 대학내일20대연구소는 20대 청년들이 현재 그들 앞에 놓인 일자리와 주거 환경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나아가 우리 사회에서 살아가는 것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2015년 12월 4~15일(12일간) 간 전국 20대 남녀 215명을 대상으로 '전국20대 취업·주거실태 및 사회인식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Project Manager
임희수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