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데이터베이직

[데이터베이직] 가치관·관계(2021년 6월)

2021.06.22
9,730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200,000원
50%
10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직은 '성별, 연령, 세대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지만, 본 조사는 '성별, 세대별' 비교 결과만을 포함함

**본 조사는 데이터베이직만 발행함


최근 Z세대 자녀가 X세대 부모의 라이프스타일이나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시각이 많습니다. Z세대가 부모 세대와 친근한 관계를 형성해 서로 취향을 나누면서, 부모 세대의 소비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죠. 

 

실제로 Z세대부모님과 친하다고 생각하는 비율69.6%로 후기 밀레니얼(60.8%), 전기 밀레니얼(58.8%), X세대(58.3%), 86세대(58.8%)등 다른 세대보다 비교적 높았습니다. 친구라고 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으로 부모를 꼽은 비율도 23.3%로 Z세대가 가장 높았습니다. X세대 부모에게 자녀의 영향력을 물어본 결과도 자녀에게 제품/서비스 정보를 물어보거나 추천받는다(52.7%), 자녀가 알려주는 제품/서비스 정보를 신뢰한다(61.2%), 제품/서비스 구매 시 자녀의 의견을 참고한다(62.0%)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도 본 조사 [가치관·관계(6월)]에는 세대별 소통방법관계에 대한 인식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 사회 참여 행태 등 세대별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인식 차이까지 상세 데이터를 통해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흔 책임연구원


* 가치관·관계(2020년 6월) 조사와 달리, 가치관·관계(2021년 6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대상 및 조사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조사대상 : 1961년~2005년생(만 15~59세)에서 1961년~2006년생(만 15~60세)으로 변경 (*설문조사 가능 연령인 만 15세를 고려하여 2006년생 추가됨)


-추가 조사항목

1.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디지털과 아날로그에 대한 인식 (Part B)
2. 우리 사회의 공정에 대한 인식 및 평가,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Part C)
3. 재테크에 대한 인식, 부동산·주식·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인식,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부모님과의 친밀도, 자녀의 영향력,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 비혼출산, 가족 제도 변화 동의 정도 (Part E)


-제외 조사항목

1. 자기 이해도, 자기 만족도, 자기 수용도, 자기 이해 중요도, 자기 이해 노력정도 (Part A, 격년 조사 진행)
2. 친구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수, 특히 친밀한 관계의 수, 친밀도에 따른 관계 구분 정도, 친구라고 생각하는 나이차, 지향하는 인간관계 방식, 온라인을 통해서만 교류하는 관계에 대한 인식. 우리 사회의 예의·배려 정도 평가 (Part B, 격년 조사 진행)
3. 공동체에 대한 인식 (Part C, 격년 조사 진행)
4. 애국심을 느끼는 상황,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인식, 본인의 생각이나 성향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사건 (Part D, 격년 조사 진행)
5. 노후 부양에 대한 인식, 연애 및 결혼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Part E, 격년 조사 진행)  


*본 보고서는 [반기·연간 단위로 트래킹하는 문항] [일회성 기획 문항]이 함께 있어
파트 번호 및 문항 번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Part A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A13. 자기 수용도 1) 나는 다른 사람과 나 자신을 비교하지 않는다 (7점 척도)                                                        

A13. 자기 수용도 2) 나는 남에게 인정받아야 마음이 편하다 (7점 척도) (*역코딩: 점수가 높을수록 동의하지 않음)         

A13. 자기 수용도 3) 나는 다른 사람의 비판이나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1) 나는 내 감정이나 욕구를 잘 통제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2) 나는 내가 목표한 일을 성취할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3) 나는 어려움이 닥쳐도 극복할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효능감 4) 나는 지금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다 (7점 척도)                                          

A14. 자기 표현력 5) 나는 다른 사람에게 내 의견을 잘 표현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표현력 6) 나는 내 개성과 취향을 잘 드러낸다 (7점 척도)                                                      

A14. 자기 능동태도 7) 나는 내 권리나 이익을 스스로 잘 챙긴다 (7점 척도)                                        

A14. 자기 능동태도 8) 나는 내 몫의 일을 스스로 찾아서 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보호 9) 나는 몸의 건강과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 평소에도 노력하고 관리한다 (7점 척도)                                

A14. 자기 보호 10) 나는 스트레스 해소나 기분 전환을 위한 나만의 방법이 있다 (7점 척도)                              

A15. 스스로 생각하는 자존감 수준 (7점 척도)

                                       

Part B 관계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B1. 가족으로 생각하는(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 (복수)                                                   

B2. 친구라고 생각하는(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 (복수)                                                   

B5. 최근 1개월간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한 방식 (복수)                                              

B5-1. 최근 1개월간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순위                                        

B5-1. 최근 1개월간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순위                                                        

B5-1. 최근 1개월간 가까운 친구·지인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 1+2+3순위                                                    

B6. 소통·교류한 방식 중 대면 소통이라고 생각하는 것 (복수)                                               

B8. 온라인에서 친근감·소속감을 느끼는 관계 보유 여부 (단수)                                             

B8. 온라인에서 친근감·소속감을 느끼는 관계의 유형 (복수)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1) 나의 SNS·블로그를 팔로우한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2) 같은 해시태그 운동·SNS 챌린지에 참여한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3) 익명채팅방에서 함께 소통한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4) 실명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속된 사람들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5)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에 소속된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6)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같은 크루에 소속된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7)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을 함께 시청한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8) 특정 유튜버·BJ·콘텐츠·채널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9) 온라인·모바일 게임을 함께 즐긴 사람들 (7점 척도)                                           

B22. 온라인 관계 소속감 정도 10) 가상현실 플랫폼에서 소통한 사람들 (7점 척도)                                                

B9. 온라인을 통해서만 교류하는 관계 보유 여부 (단수)                                                          

B9. 온라인을 통해서만 교류하는 관계의 성격 (복수)                                            

B10. 온라인을 통해서만 교류하는 인간관계 만족도 (7점 척도)                                              

B12. 온라인을 통해서만 교류하는 인간관계와 오프라인 교류 의향 (7점 척도)                                                          

B13. 개인 SNS 이용 여부 (단수)                                         

B13. 개인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유형 (복수)                                                         

B14. 익명 온라인 소통 채널 이용 여부 (단수)                                                        

B14. 익명 온라인 소통 채널을 통해 공유할 수 있는 정보 유형 (복수)                                                    

B15. 전반적인 인간관계 만족도 (7점 척도)                                          

B16. 인간관계 중요도 (7점 척도)                                        

B18. 인간관계 유지 노력 정도 (7점 척도)                                            

B19. 인간관계 확장 노력 정도 (7점 척도)                                            

B20. 인간관계 축소 필요 정도 (7점 척도)                                            

B23. 디지털 기록과 아날로그 기록 중 더 익숙한 것 (7점 척도)                                            

B24. 디지털 기록과 아날로그 기록 중 더 선호하는 것 (7점 척도)                                        

B25. 디지털 기록과 아날로그 기록 중 더 영구적이라고 생각는 것 (7점 척도)

                                       

Part C 사회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4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4+5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4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4+5순위                                           

C3.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식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복수)                                                      

C4. 우리나라 제도 및 인프라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복수)                                                    

C5. 향후 우리나라 수준 및 환경이 더 나아질 것 같은 사회 분야 (복수)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1) 우리 사회는 정의로운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2) 우리 사회는 평등한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3) 우리 사회는 공정한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4) 우리 사회는 자유로운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5) 우리 사회는 다양성이 인정받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1) 노력하는 만큼 보상이 돌아오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2)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3)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4) 기회의 격차를 보완할 제도·장치가 잘 마련된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5) 누구나 계층 상승을 할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3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3+4순위                                                        

C7. 해결이 시급한 우리 사회의 문제·이슈 - 1+2+3+4+5순위                                                    

C8. 최근 1년 내 사회 참여 경험 여부 (단수)                                                          

C8. 최근 1년 내 사회 이슈와 관련하여 참여한 활동 (복수)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1) 나의 참여로 사회가 바뀔 수 있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2) 사회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야한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3) 사회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내야한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4) 1년 전보다 사회 참여 방법과 통로가 다양해졌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5) 1년 전보다 나와는 다른 의견이나 생각도 존중받는 분위기다 (7점 척도)                              

C16. 우리나라는 갈등이 심하다는 의견 동의 정도 (7점 척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순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2순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2+3순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1) 남녀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2) 세대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3) 정치이념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4) 빈부갈등 (7점 척도)                                                      

C18. 우리 사회의 갈등 공감 정도 5) 지역갈등 (7점 척도)

                                       

Part D 국가와 세계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1)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2) 우리나라에서 계속 살고 싶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3) 우리나라의 국민인 것이 자랑스럽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4) 우리나라가 잘돼야 나도 잘된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5) 우리나라가 위기일 때 나도 힘을 보태야 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6) 애국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7) 우리나라의 국익을 위해 나의 이익을 희생할 수 있다 (7점 척도)      

D3.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국가 (복수)                                               

D4. 글로벌 리더 역할에 가장 적합한 국가 (단수)                                                 

D5. 주변국 인식 1) 미국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2) 중국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3) 일본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4) 러시아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5) 북한 (7점 척도)


Part E 삶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E1.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 (7점 척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3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3+4순위                                                     

E2.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 1+2+3+4+5순위                                                 

E3. 삶에 있어서 대졸학력 필요 정도 (7점 척도)                                                    

E4. 삶에 있어서 저축 필요 정도 (7점 척도)                                        

E5. 삶에 있어서 보험 필요 정도 (7점 척도)                                        

E17. 재테크에 대한 인식 1) 예·적금 (7점 척도)                                                      

E17. 재테크에 대한 인식 2) 부동산 투자 (7점 척도)                                             

E17. 재테크에 대한 인식 3) 주식 투자 (7점 척도)                                                 

E17. 재테크에 대한 인식 4)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투자 (7점 척도)                                                        

E18. 부동산 투자에 대한 인식 1) 부동산 투자는 바람직한 재테크 수단이다 (7점 척도)                                         

E18. 부동산 투자에 대한 인식 2) 부동산 투자를 통해 얻은 수익은 내 노력의 결과물이다 (7점 척도)                                   

E18. 부동산 투자에 대한 인식 3) 부동산 투자는 반드시 해야 한다 (7점 척도)                                                         

E19. 주식 투자에 대한 인식 1) 주식 투자는 바람직한 재테크 수단이다 (7점 척도)                                                 

E19. 주식 투자에 대한 인식 2) 주식 투자를 통해 얻은 수익은 내 노력의 결과물이다 (7점 척도)                       

E19. 주식 투자에 대한 인식 3) 주식 투자는 반드시 해야 한다 (7점 척도)                                             

E20.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인식 1) 가상화폐 투자는 바람직한 재테크 수단이다 (7점 척도)                                 

E20.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인식 2) 가상화폐 투자를 통해 얻은 수익은 내 노력의 결과물이다 (7점 척도)       

E20. 가상화폐 투자에 대한 인식 3) 가상화폐 투자는 반드시 해야 한다 (7점 척도)                             

E21. 현재 하고 있는 재테크 방식 (복수)                                              

E8. 삶에 있어서 연애 필요 정도 (7점 척도)                                        

E10. 삶에 있어서 결혼 필요 정도 (7점 척도)                                                          

E12. 삶에 있어서 자녀 필요 정도 (7점 척도)                                                          

E13. 우리나라의 저출생(저출산)이 국가적인 위기다라는 인식 공감 정도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1) 나는 부모님과 친하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2) 나는 부모님과 대화나 연락을 자주한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3) 나는 부모님과 식사를 자주한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4) 나는 부모님과 여가 시간을 자주 보낸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5) 나는 부모님에게 고민 상담을 한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6) 나는 부모님에게 나의 경제 상황을 공유한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7) 나는 부모님에게 나의 취향·취미를 공유한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8) 나는 부모님의 의견을 수용한다 (7점 척도)                               

E22.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9) 나는 부모님을 닮고 싶은 부분이 있다 (7점 척도)                                       

E23.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1) 부모님은 나를 존중한다 (7점 척도)                         

E23.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2) 부모님은 나를 신뢰한다 (7점 척도)                         

E23.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3) 부모님은 나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E24. 부모님과의 친밀도 1) 아버지 (7점 척도)                                                         

E24. 부모님과의 친밀도 2) 어머니 (7점 척도)                                                         

E25. 청소년 시기 부모님과의 관계 (7점 척도)                                                        

E26. 자녀의 영향력 1) 자녀에게 제품·서비스 정보를 물어보거나 추천받는다 (7점 척도)                    

E26. 자녀의 영향력 2) 자녀가 알려주는 제품·서비스 정보를 신뢰한다 (7점 척도)                                

E26. 자녀의 영향력 3) 제품·서비스 구매 시 자녀의 의견을 참고한다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1) 혼전동거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2) 비혼주의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3) 딩크족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4) 분자가족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5) 대안교육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6) 비건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7) 비혼출산 (7점 척도)                                                       

E27. 가족 제도 변화 동의 정도 1) 가족 호칭 개선 (7점 척도)                                               

E27. 가족 제도 변화 동의 정도 2) 부성 우선 원칙 폐지 (7점 척도)                                                         

E27. 가족 제도 변화 동의 정도 3) 동성혼 법제화 (7점 척도)                                                 

E16. 삶의 가치관 및 지향 1) 시작한 일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해야한다 (7점 척도                                    

E16. 삶의 가치관 및 지향 2) 어떤 일을 할 때 반드시 완벽할 필요는 없다 (7점 척도)                       

E16. 삶의 가치관 및 지향 3) 집단의 이익보다 개인의 이익이 중요하다 (7점 척도)                             

E16. 삶의 가치관 및 지향 4) 미래보다 현재를 즐기는 게 중요하다 (7점 척도)                                     

E16. 삶의 가치관 및 지향 5) 나는 특별한 존재다 (7점 척도)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2. 결혼 여부 (단수)                                                           

DQ3. 자녀·손자 여부 (복수)                                                  

DQ10. 자녀 연령대 (단수)                                                     

DQ4. 함께 살고 있는 가족 (복수)                                                           

DQ5.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6.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DQ7. 이용하는 SNS (복수)                                                    

DQ8.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 (단수)                                                    

DQ9. 정치성향 (단수)                                         


Contents No DB2021-6호
Summary *본 조사는 만 15~60세의 자아·관계·사회·국가·세계·삶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
세대 간 (Z세대, 후기 밀레니얼 세대, 전기 밀레니얼 세대, X세대, 86세대) 비교를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이재흔 책임연구원(연구책임)
이은재 수석연구원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