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직] 일·직업·직장(2022년 9월)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직은 '성별, 연령, 세대별' 비교 결과를 포함
최근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려는 기업의 채용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조직 내 Z세대 신입이 늘어나면서 세대별 업무와 직장, 직업을 대하는 가치관 차이가 두드러지고 있는데요. Z세대 5명 중 1명(22.1%)은 이직을 ‘항상 생각한다’고 응답했으며, “이직을 할수록 내 가치가 높아진다(40.4%)”에 동의하는 비율이 모든 세대 중 가장 높을 만큼 이직에 열려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편, 평생 직장이 사라진 요즘 제2의 월급을 벌고 있는 직장인들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직장인 10명 중 4명(41.2%)은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제활동을 경험해 보았다고 합니다. 특히, Z세대 응답자 비율은 49.0%로 평균 대비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요, 블로그 수익, 배달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본 조사[일·직업·직장(2022년 9월)]에서는 구직/이직 플랫폼 이용 경험과 고려 요인은 물론 유연 근무 경험 및 이직 관련 인식을 새롭게 확인해 보실 수 있는데요, 동료와의 관계, 업무 태도, 성과 보상 및 평가와 국내 10대 그룹사에 관한 이미지까지 일과 직장생활에 관한 세대별 가치관을 상세히 비교해 보실 수 있습니다.
-송혜윤 수석연구원
*일·직업·직장(2021년 8월) 조사와 달리, 일·직업·직장(2022년 9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 추가된 조사항목
1. 새로 선택해보고 싶은 직업 (B6)
2. 직장(회사)에서 안정감을 주는 요소 (C5)
3. 구직/이직 플랫폼 이용 고려 요소, 이용 경험, 플랫폼 만족 요인 (C12~C16)
4. 내가 추구하는 ‘성장’에 가까운 표현 (D16)
5.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D17)
6. 유연근무 및 부업 관련 인식 (Part H)
- 제외된 조사항목
1. 퇴사 생각 빈도 및 고민 이유 (C9, C9-1)
2. 개인이 추구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의 형태 (C10)
3. 최근 1년 내 경험한 근무 형태 및 만족도 (D7~D9)
4. 사이드프로젝트 관련 경험 및 인식 (D10~D12)
5. 업무에 주로 사용하는 협업 툴 종류 및 가장 만족스러운 협업 툴 (D13, D13-1)
6. 기업 직무순환제 관련 인지도 및 긍/부정 태도 (D14~D15-2)
*본 보고서는 [연간 단위로 트래킹하는 문항]과 [일회성 기획 문항]이 함께 있어
파트 번호 및 문항 번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거주지역 (단수)
SQ4. 현재 직업 (단수)
SQ5. 경제활동기간 (단수)
Part A '일'에 관한 전반적 인식
A1. 일의 개념과 가장 가까운 표현 (단수)
A2. 직업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
A3. 직장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
A4. 업무를 통해 추구하는 가치
Part B '직업'에 관한 전반적 인식
B1. 직업 관련 인식 1)직업 가치 평가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2)직업 변경 의향 정도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3)직업의 성공 지향 정도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4)다양한 직업 보유 선호도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5)정년 이후 직업 필요도 (5점척도)
B2. 현재 직업의 전반적 만족도 (5점척도)
B3. 현재 직업 선택의 외부 영향요인 (복수)
B3. 현재 직업 선택의 외부 영향요인
B4. 현재 직업을 선택하게 된 이유
B5. 현재 직업을 다른 직업으로 바꾸고 싶은 의향 정도 (5점척도)
B5-1. 다른 직업으로 바꾸고 싶은 이유
B6. 새로 선택해보고 싶은 직업 (주관식)
Part C '직장(회사)'에 관한 전반적 인식
C1. 현재 직장(회사)을 선택할 때 고려요소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1) 연봉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2) 직무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3) 복리후생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4) 고용 안정성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5) 근무 지역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6) 근무 공간 및 환경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7) 조직문화 및 근무 분위기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8) 개인의 성장가능성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9) 기업의 성장가능성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10) 기업의 인지도 및 이미지 (5점척도)
C2. 현재 직장(회사)의 전반적 만족도 (5점척도)
C3. 현재 직장(회사)에 대한 자부심 정도 (5점척도)
C4. 직장(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는 상황
C5. 직장(회사)생활을 하는 데 안정감을 주는 요소 (복수, 최대 3개)
C6. 현재 직장(회사)의 향후 예상 근속년수 (단수)
C7. 이직에 대한 생각 빈도 (4점척도)
C7-1. 이직을 고민하는 이유
C7-2. 현재 이직 준비 진행여부 (단수)
C7-3. 이직 준비를 위한 경험의 종류 (복수)
C8. 이직 기업 선택의 고려요인
C11. 워라밸 만족도에 따른 수입(급여) 조정 의향 정도 (단수)
C11-1. 워라밸을 포기하고 더 받고 싶은 수입(급여) 비율 (주관식)
C11-2. 워라밸을 얻기 위해 삭감할 수 있는 수입(급여) 비율 (주관식)
C12. 구직/이직 플랫폼 이용 시 중요 고려 요인
C13.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복수)
C14. 최근 6개월 이내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복수)
C14. 최근 6개월 이내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C14. 최근 6개월 이내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C15. 가장 만족하는 구직/이직 플랫폼 (단수)
C16. `잡코리아`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C16. `사람인`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C16. `워크넷`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C16. `인크루트`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Part D '업무'에 관한 전반적 인식
D1. 현재 업무의 전반적 만족도 (5점척도)
D2. 업무를 통한 성장 및 성취감의 중요도 (5점척도)
D3. 업무를 통해 성장 및 성취감을 느끼는 정도 (5점척도)
D4. 업무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끼는 상황
D4-1. 업무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는 상황
D5-1.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출근 시간 전 업무준비 수용도 (단수)
D5-2.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상사·리더의 의견 수용도 (단수)
D5-3.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공식 업무시간 외 연락 수용도 (단수)
D5-4.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팀·조직 내 업무 분담 수용도 (단수)
D5-5.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업무 완성도를 위한 투입 수용도 (단수)
D5-6.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조직을 위한 개인희생 수용도 (단수)
D5-7.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조직 내 의사 결정 방식 수용도 (단수)
D5-8.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직급 및 연차에 따른 승진과 급여 상승 수용도 (단수)
D6. [일을 잘 한다]는 의미에 가까운 태도
D16. 내가 지향하는 [성장]에 가까운 표현 (단수)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1)자기 적성 이해도 (5점척도)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2)동일 직무의 커리어 지향 (5점척도)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3)여러 직장에서의 근속 의향 (5점척도)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4)이직을 통한 자기 가치 평가 (5점척도)
Part H '유연근무 및 부업'에 관한 전반적 인식
H1. 현재 직장(회사)의 주 출퇴근 유형 (단수)
H2. `정시 출퇴근제`의 긍정적 효과 (복수, 최대 3개)
H2. `시차 출퇴근제`의 긍정적 효과 (복수, 최대 3개)
H2. `시간 선택제`의 긍정적 효과 (복수, 최대 3개)
H3. 현재 직장(회사)의 주 근무장소 (단수)
H4. `회사 내 근무`의 긍정적 효과 (복수, 최대 3개)
H4. `재택 근무`의 긍정적 효과 (복수, 최대 3개)
H4. `회사 지정 장소 근무`의 긍정적 효과 (복수, 최대 3개)
H4. `원하는 장소 근무`의 긍정적 효과 (복수, 최대 3개)
H5.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복수)
H5.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H5.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H6. 최근 6개월 내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복수)
H6. 최근 6개월 내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H6. 최근 6개월 내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H7. 직장(회사)생활과 다른 경제활동을 병행하는 가장 큰 이유 (단수)
H8. 향후 1년 내 직장(회사)생활 외 다른 경제활동 병행의향 (5점척도)
Part G '성과 보상 및 평가'에 관한 전반적 인식
G1. 개인업무성과평가 및 보상의 신뢰도 1) 성과평가 및 보상 기준의 합리성 (5점척도)
G1. 개인업무성과평가 및 보상의 신뢰도 2) 성과평가 및 보상 과정의 투명성 (5점척도)
G1. 개인업무성과평가 및 보상의 신뢰도 3) 성과평가 및 보상 결과의 공정성 (5점척도)
G2. 현재 직장(회사)에서의 개인업무성과평가 및 보상 기준 공개의 필요정도 (5점척도)
G3. 현재 직장(회사)에서의 개인업무성과평가에 대한 만족도 (5점척도)
G3-1. 현재 직장(회사)에서의 업무성과평가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 (단수)
G3-2. 현재 직장(회사)에서의 업무성과평가에 만족하는 이유 (단수)
G4.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업무성과평가 방식 (단수)
G5. 개인 및 조직/부서/팀 성과 보상 지급방식에 대한 태도 비교 (단수)
Part E '소통 및 관계'에 관한 전반적 인식
E1. 선호하는 직장 내 의사소통 방식
E2. 선호하는 직장 상사(리더)의 유형 (단수)
E3. 직장 동료와의 관계를 정의하는 표현 (단수)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 1)팀원과의 점심식사 필요도 (5점척도)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 2)친밀감과 팀워크의 관계 (5점척도)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 3)친밀감의 중요도 (5점척도)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 4)점심회식 선호도 (5점척도)
Part F 직장인들의 기업 정보공유 채널 및 국내 10대 기업 이미지 인식 비교
F1. 최근 6개월 내 공유한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 유형 (복수)
F1. 최근 6개월 내 공유한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 유형 (공유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F1. 최근 6개월 내 공유한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 유형 (공유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F2.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를 주로 공유하는 채널
F3. 자사/타사 등 일반적인 기업의 이미지 형성 계기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기능] 제품·서비스가 훌륭한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기능] 성장 가능성이 높은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기능] 친환경적인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기능]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기능] 지배 구조 개선에 노력하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기능] CEO·경영진의 리더십이 뛰어난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감성] 나와 소통하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감성] 약속을 잘 지키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감성] 트렌드 변화에 유연한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감성] 위기를 현명하게 대처하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감성] 응원하고 지지하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감성] 따뜻하고 인간적인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조직] 연봉이 높은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조직] 업무성과에 맞게 대우하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조직] 나의 역량을 성장시킬 수 있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조직] 출퇴근시간과 휴가 사용이 자유로운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조직] 남녀 차별이 없는 (복수)
F5. 국내 10대 그룹사별 이미지 - [조직] 직원들의 의견 개진이 가능한 (복수)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재직중인 직장 규모 (단수)
DQ8. 현재까지의 직장 근무 경험 횟수 (단수)
DQ2. 현재 직무 (단수)
DQ3. 최종 학력 (단수)
DQ4. 결혼 유무 (단수)
DQ5. 현재 거주 가구 구성 (복수)
DQ6.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7.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이은재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