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직] 일·직업·직장(2023년 6월)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직은 '성별, 연령, 세대별' 비교 결과를 포함함
*2023년 6월 28일 시행되는 '만 나이 통일법'으로 인해 2023년 연구자료부터 조사 대상 표기를 '만 OO세'에서 'OO세'로 변경합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 모든 자료 내 연령 표기는 연 나이(당해년도-출생연도)가 기준이므로 조사 대상은 기존과 동일함을 안내드립니다.
“저는 에어팟을 끼고 일해야 능률이 올라가는 편입니다.” <SNL코리아>의 ‘MZ 오피스’ 코너 속 등장하는 대사로, 직장인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이에 공감하시나요? 세대별로 수용 가능한 조직 문화에 관해 물어보았을 때, 업무 시간에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Z세대는 44.4%였습니다. 반면 밀레니얼 세대는 30.1%, X세대는 25.7%, 86세대는 18.6%로, Z세대에 비해 비교적 낮은 편이었습니다.
이번 데이터에서는 ‘선호하는 직장 선임·선배와 후임·후배 유형’을 새롭게 조사해 보았는데요.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선임·선배는 ‘문제 처리 시 책임감 있게 대응하는 유형(50.0%, 38.9%)’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밀레니얼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후임·후배 유형은 ‘업무 내용을 잘 이해하는 유형(36.5%)’이었고, X세대는 ‘문제 처리 시 책임감 있게 대응하는 유형(38.8%)’, 86세대는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업무하는 유형(45.9%)’으로 나타나 세대별로 선호하는 후임·후배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MZ세대에게 이직은 여전히 유효한 선택지입니다. 자신의 커리어를 진단하고 향후 직무 선택에 도움을 받는 ‘커리어 진단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경험 의향을 물어봤는데요. Z세대의 커리어 진단 서비스 긍정의향률은 50.0%로, 해당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세대별 선호하는 사내 복지와 은퇴 및 은퇴 이후 일자리에 대한 인식, 파이어족에 대한 인식 등까지 새롭게 추가했으니 데이터를 통해 세대별 차이를 상세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김민경 연구원
*일·직업·직장(2022년 9월) 조사와 달리, 일·직업·직장(6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대상 및 조사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 추가된 조사항목
1. 직장 생활 기간 (SQ7)
2. 커리어 진단 서비스 인지도 (C17)
3. 커리어 진단 서비스 경험 의향 (C18)
4. 수용가능한 조직 문화 (C19)
5. 현 직장에서 허용 가능한 조직 문화 (C20)
6. 선호하는 사내 복지 (C21)
7. 경험해본 사내 복지 (C22)
8. 은퇴 준비 정도 (H9)
9. 은퇴를 위해 하고 있는 준비 사항 (H10)
10. 현실적인 은퇴 예상 나이 (H11)
11. 희망하는 은퇴 나이 (H12)
12. 은퇴 이후 일자리 및 급여에 대한 인식 (H13)
13. 은퇴 이후 일자리가 필요한 이유 (H13-1)
14. 파이어족에 대한 이해도 (H14)
15. 파이어족에 대한 가족지지도 (H14-1)
16. 파이어족에 대한 향후 의향 (H14-2)
17. 선호하는 직장 선임·선배·사수의 유형 (E2)
18. 선호하는 직장 후임·후배·부사수의 유형 (E5)
- 제외된 조사항목
1. 새로 선택해보고 싶은 직업 (B6)
2. 퇴사에 대한 생각 빈도 (C9)
3. 퇴사를 고민하는 이유 (C9-1)
4. 개인이 추구하는 워라밸의 형태 (C10)
5. 워라밸 만족도에 따른 수입(급여) 조정 의향 정도 (C11)
6. 워라밸을 포기하고 더 받고 싶은 수입(급여) 비율 (C11-1)
7. 워라밸을 얻기 위해 삭감할 수 있는 수입(급여) 비율 (C11-2)
8. 현재 경험 중인 출퇴근 제도 유형 (H1)
9. 근무 시간의 유연함이 주는 긍정적 영향 (H2)
10. 현재 주 근무 장소 유형 (H3)
11. 근무 장소의 유연함이 주는 긍정적 영향 (H4)
12. 최근 1년 내 경험한 근무형태 (D7)
13. 근무형태별 경험 빈도 (D8)
14. 근무형태별 경험 만족도 (D9)
15. 사이드프로젝트 경험여부 (D10)
16. 사이드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이유 (D11)
17. 향후 1년 내 사이드프로젝트 참여 의향 (D12)
18. 업무에 주로 사용하는 협업툴 종류 (D13)
19. 가장 만족스러운 기능을 가진 협업툴 (D13-1)
20. 기업의 직무순환제 관련 인지도 (D14)
21. 기업의 직무순환제 근무형태 긍부정 태도 (D15)
22. 직무순환제 근무형태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 (D15-1)
23. 직무순환제 근무형태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 (D15-2)
24. 개인성과평가 및 보상의 신뢰도 (G1)
25. 현재 직장에서의 개인성과평가 및 보상 기준 공개의 필요정도 (G2)
26. 현재 직장에서의 개인성과평가에 대한 만족도 (G3)
27. 현재 직장에서의 성과 평가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 (G3-1)
28. 현재 직장에서의 성과 평가에 만족하는 이유 (G3-2)
29.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성과 평가 방식 (G4)
30. 개인 및 조직/부서/팀 성과 보상 지급 방식에 대한 태도 비교 (G5)
31. 기업 유형별 이미지 (F4)
32. 국내 5대 그룹사별 이미지 (F5)
*본 보고서는 [반기·연간 단위로 트래킹하는 문항]과 [일회성 기획 문항]이 함께 있어
파트 번호 및 문항 번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거주지역 (단수)
SQ4. 현재 직업 (단수)
SQ5. 경제활동기간 (단수)
SQ6. 직장생활기간 (단수)
Part A '일'에 관한 전반적 인식
A1. 일의 개념과 가장 가까운 표현 (단수)
A2. 직업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
A3. 직장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
A4. 업무를 통해 추구하는 가치
Part B '직업'에 관한 전반적 인식
B1. 직업 관련 인식 1)직업 가치 평가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2)직업 변경 의향 정도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3)직업의 성공 지향 정도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4)다양한 직업 보유 선호도 (5점척도)
B1. 직업 관련 인식 5)정년 이후 직업 필요도 (5점척도)
B2. 현재 직업의 전반적 만족도 (5점척도)
B3. 현재 직업 선택의 외부 영향요인 (복수)
B3. 현재 직업 선택의 외부 영향요인 (요인없음 응답구분, 단수)
B3. 현재 직업 선택의 외부 영향요인 (요인없음 응답제외, 복수)
B4. 현재 직업을 선택하게 된 이유
B5. 현재 직업을 다른 직업으로 바꾸고 싶은 의향 정도 (5점척도)
B5-1. 다른 직업으로 바꾸고 싶은 이유
Part C '직장(회사)'에 관한 전반적 인식
C1. 현재 직장(회사)을 선택할 때 고려요소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1) 연봉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2) 직무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3) 복리후생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4) 고용 안정성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5) 근무 지역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6) 근무 공간 및 환경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7) 조직문화 및 근무 분위기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8) 개인의 성장가능성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9) 기업의 성장가능성 (5점척도)
C1-1. 직장(회사) 선택 고려요소별 만족도_10) 기업의 인지도 및 이미지 (5점척도)
C2. 현재 직장(회사)의 전반적 만족도 (5점척도)
C3. 현재 직장(회사)에 대한 자부심 정도 (5점척도)
C4. 직장(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는 상황
C5. 직장(회사)생활을 하는 데 안정감을 주는 요소 (복수, 최대 3개)
C6. 현재 직장(회사)의 향후 예상 근속년수 (단수)
C7. 이직에 대한 생각 빈도 (4점척도)
C7-1. 이직을 고민하는 이유
C7-2. 현재 이직 준비 진행여부 (단수)
C7-3. 이직 준비를 위한 경험의 종류 (복수)
C8. 이직 기업 선택의 고려요인
C12. 구직/이직 플랫폼 이용 시 중요 고려 요인
C13.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복수)
C14. 최근 6개월 이내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복수)
C14. 최근 6개월 이내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C14. 최근 6개월 이내 이용해 본 구직/이직 플랫폼 (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C15. 가장 만족하는 구직/이직 플랫폼 (단수)
C16. `잡코리아`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C16. `사람인`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C16. `워크넷`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C16. `인크루트` 플랫폼 이용의 만족 요소 (복수, 최대 3개)
C17. 커리어 진단 서비스 인지도 (4점척도)
C18. 커리어 진단 서비스 경험 의향 (5점척도)
C19. 수용가능한 조직 문화 (복수)
C20. 현 직장에서 허용 가능한 조직 문화 (복수)
C21. 선호하는 사내 복지 (복수, 최대 10개)
C22. 경험해본 사내 복지 (복수)
Part D '업무'에 관한 전반적 인식
D1. 현재 업무의 전반적 만족도 (5점척도)
D2. 업무를 통한 성장 및 성취감의 중요도 (5점척도)
D3. 업무를 통해 성장 및 성취감을 느끼는 정도 (5점척도)
D4. 업무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끼는 상황
D5-1.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출근 시간 전 업무준비 수용도 (단수)
D5-2.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상사·리더의 의견 수용도 (단수)
D5-3.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공식 업무시간 외 연락 수용도 (단수)
D5-4.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팀·조직 내 업무 분담 수용도 (단수)
D5-5.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업무 완성도를 위한 투입 수용도 (단수)
D5-6.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조직을 위한 개인희생 수용도 (단수)
D5-7.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조직 내 의사 결정 방식 수용도 (단수)
D5-8. 세대별 업무관련 태도 비교 - 직급 및 연차에 따른 승진과 급여 상승 수용도 (단수)
D6. [일을 잘 한다]는 의미에 가까운 태도
D16. 내가 지향하는 [성장]에 가까운 표현 (단수)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1)자기 적성 이해도 (5점척도)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2)동일 직무의 커리어 지향 (5점척도)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3)여러 직장에서의 근속 의향 (5점척도)
D17. 직무 및 이직 관련 인식 4)이직을 통한 자기 가치 평가 (5점척도)
Part H '부업 및 은퇴'에 관한 전반적 인식
H5.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복수)
H5.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H5.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H6. 최근 6개월 내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복수)
H6. 최근 6개월 내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H6. 최근 6개월 내 직장(회사)생활과 병행하면서 경험해본 경제활동 (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H7. 직장(회사)생활과 다른 경제활동을 병행하는 가장 큰 이유 (단수)
H8. 향후 1년 내 직장(회사)생활 외 다른 경제활동 병행의향 (5점척도)
H9. 은퇴 준비 정도 (단수)
H10. 은퇴를 위해 하고 있는 준비 사항 (복수)
H11. 현실적인 은퇴 예상 나이 (주관식)
H12. 희망하는 은퇴 나이 (주관식)
H13. 은퇴 이후 일자리 및 급여에 대한 인식 (단수)
H13-1. 은퇴 이후 일자리가 필요한 이유 (복수, 최대 3개)
H14. 파이어족에 대한 이해도 (5점척도)
H14-1. 파이어족에 대한 가족지지도 (5점척도)
H14-2. 파이어족에 대한 향후 의향 (5점척도)
Part E '소통 및 관계'에 관한 전반적 인식
E1. 선호하는 직장 내 의사소통 방식
E2. 선호하는 직장 선임·선배·사수의 유형
E5. 선호하는 직장 후임·후배·부사수의 유형
E3. 직장 동료와의 관계를 정의하는 표현 (단수)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_1)팀원과의 점심식사 필요도 (5점척도)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_2)친밀감과 팀워크의 관계 (5점척도)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_3)친밀감의 중요도 (5점척도)
E4. 직장 동료와의 관계인식_4)점심회식 선호도 (5점척도)
Part F 직장인들의 기업 정보공유 채널에 관한 인식
F1. 최근 6개월 내 공유한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 유형 (복수)
F1. 최근 6개월 내 공유한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 유형 (공유경험없음 응답구분, 단수)
F1. 최근 6개월 내 공유한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 유형 (공유경험없음 응답제외, 복수)
F2. 직장의 소식이나 정보를 주로 공유하는 채널
F3. 자사/타사 등 일반적인 기업의 이미지 형성 계기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재직중인 직장 규모 (단수)
DQ8. 현재까지의 직장 근무 경험 횟수 (단수)
DQ2. 현재 직무 (단수)
DQ3. 최종 학력 (단수)
DQ4. 결혼 유무 (단수)
DQ5. 현재 거주 가구 구성 (복수)
DQ6.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7.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이은재 수석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