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데이터플러스

[데이터플러스] 관계·커뮤니케이션(2023년 6월)

2023.06.26
1,013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50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플러스는 ‘성별, 연령, 세대, 세대별 성별, 거주지역, 경제활동 유무, 직업, 결혼 유무, 가구구성, 반려동물 유무, 소득별’ 결과를 포함하지만, 본 조사는 ‘성별, 세대, 세대별 성별, 결혼 여부 및 자녀 유무, 거주지역, 경제활동 유무, 직업, 반려동물 유무, 소득별’ 결과를 포함함


최근 가족의 모습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Z세대 자녀와 X세대 부모가 서로의 취향과 문화를 공유하며 친구처럼 지내기도 하고, 밀레니얼 세대 부모가 늘며 육아 문화도 달라지고 있는데요. 이번 ‘관계·커뮤니케이션’ 조사에서는 달라진 가족 모습을 확인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 부모의 육아 트렌드가 눈에 띄었습니다. 초등학생 이하 자녀가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최근 1년 내 키즈 프렌들리 공간 이용 경험을 확인한 결과, 다른 세대에 비해 밀레니얼 세대키즈 펜션·풀빌라(전기 밀레니얼 50.4%, 후기 밀레니얼 40.0%) 이용 경험률이 높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기 밀레니얼 키즈 캠핑장(41.9%), 후기 밀레니얼 프라이빗 키즈풀·워터룸(42.9%) 이용률이 높았는데요.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 위해 특별한 여가 공간을 찾는 모습이 돋보입니다.


임신·출산을 기념하는 모습도 주목할 법합니다. 임신·출산 관련 이벤트 경험을 물어본 결과, 밀레니얼 세대 부모 다양한 가족 이벤트에 적극적이었는데요. 임신 만삭 촬영의 경우, 86세대는 15.3%, X세대는 25.9%가 경험한 반면, 전기 밀레니얼(56.0%)과 후기 밀레니얼(68.6%)은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삼신상(전기 밀레니얼 28.8%, 후기 밀레니얼 37.1%)과 아기 성별을 공개하는 젠더 리빌 파티(전기 밀레니얼 14.4%, 후기 밀레니얼 14.3%) 등 색다른 이벤트 경험율도 비교적 높았습니다.


이외에도 세대별 부모, 자녀, 친구, 연인, 배우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가족관, 연애관, 결혼관 등 관계에 대한 가치관 전반을 다루었습니다. 더불어 가정 생활과 여가, 육아, 자녀 관련 소비 행태까지 가정 생활과 관련한 상세한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재흔 수석연구원


*관계·커뮤니케이션(2022년 5월) 조사와 달리, 관계·커뮤니케이션(2023년 6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 추가된 조사항목

1. 부모님 및 자녀와 함께 챙기는 기념일, 함께 해본 이벤트 (A44~45, A47~48)

2. 자녀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 (A46)

3. 자녀 육아 및 자녀 교육 관련 경험, 정보 탐색 행태 (A60~65, A72)

4. 본인 및 배우자 외 자녀 육아·교육 기여도가 높은 가족 구성원 (A66)

5. 육아 용품 소비 관련 경험, KBF (A67~71)

6. 가족과의 친밀도 10) 조카 (A18)

7. 부모님 및 자녀와 식당·맛집·카페 방문 시 중요 고려 요인 (A49~50)

8. 가족 여가 공간 정보 탐색 행태 (A51~53)

9. 키즈 프렌들리 공간에 대한 인식 및 이용 행태 (A54~56)

10. 가정 생활 기여도, 가사 활동, 가정 생활 소비 행태 (A57~59)

11. 현재 가장 가깝게 지내는 친구 유형 (B18)

12. 성인이 된 후 새로운 친구를 사귄 경로 (B19)

13. 선배·연장자와 만남 시 비용 정산 방식 (B20)

14. 친구·지인 경조사비 (B21, B22)

15. 배우자와 소통 방식, 이야기 주제, 관계에 대한 인식 (D44~47, D50, D51)

16. 연애 및 배우자 관련 고민 해결 방법 (D48~49)

17. 결혼 및 출산 적정 연령에 대한 인식 (D52, D59)

18. 결혼 준비에 대한 인식 및 경험 (D53~58)

19. 자녀 양육 준비에 대한 인식 및 경험 (D60~65)

20. 도움되는 저출생(저출산) 정책 (D66)

21. 임신 및 출산 관련 정보 탐색 행태 (D67~69)

22. 출산 기념일·이벤트 경험 및 인식 (D69, D70)

23. 자녀 희망 직업 (D71)

24. 조카·손주·지인 아이 선물 경험 및 평균 가격대 (D72, D73)


- 제외된 조사항목

1. 부모님 및 자녀 관련 SNS 활동 및 행태 (A6~7, A12~14)

2. 가족과 함께 챙기는 기념일 (A15)

3. 부모 노후 부양 및 자녀 경제적 지원에 대한 인식 (A25~27)

4. 반려동물 관련 경험·소비·인식 (A34~43)

5. 친구와의 소통 행태 및 관계에 대한 인식 (B2~12)

6. 온라인 친구와의 소통 행태 및 관계에 대한 인식 (Part C)

7. 연애 관련 경험 및 인식, 연인·애인과의 소통 행태 및 관계에 대한 인식 (D2~35)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Part A 가족(부모·자녀)과의 소통 방식 및 관계에 대한 인식 & 가정 생활(가사·육아·여가) 관련 소비 행태
A1. 가족으로 생각하는(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 (복수)
A2. 평소 부모님과 소통·교류한 방식 (복수)
A3. 부모님과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A4. 부모님과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A4. 부모님과 소통 빈도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A4. 부모님과 소통 빈도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A4. 부모님과 소통 빈도 4) 영상 통화 (단수)
A4. 부모님과 소통 빈도 5) 식사 (단수)
A4. 부모님과 소통 빈도 6) 여가·취미활동 (단수)
A5. 부모님과 소통 시 이야기 주제 (복수)
A5. 부모님과 소통 여부 (소통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5. 부모님과 소통 시 이야기 주제 (소통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44. 부모님과 함께 챙기는 기념일 (복수)
A44. 부모님과 함께 챙기는 기념일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44. 부모님과 함께 챙기는 기념일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45. 부모님과 기념일에 함께 해본 이벤트 (복수)
A45. 부모님과 기념일에 함께 해본 이벤트가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45. 부모님과 기념일에 함께 해본 이벤트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9. 부모님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복수)
A19. 부모님과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9. 부모님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0. 부모님에 대한 인식 1) 나는 부모님을 존중한다 (7점 척도)
A20. 부모님에 대한 인식 2) 나는 부모님을 신뢰한다 (7점 척도)
A20. 부모님에 대한 인식 3) 나는 부모님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21. 나에 대한 부모님의 인식 1) 부모님은 나를 존중한다 (7점 척도)
A21. 나에 대한 부모님의 인식 2) 부모님은 나를 신뢰한다 (7점 척도)
A21. 나에 대한 부모님의 인식 3) 부모님은 나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8. 평소 자녀와 소통·교류한 방식 (복수)
A9. 자녀와 소통·교류 시 선호하는 방식
A10. 자녀와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A10. 자녀와 소통 빈도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A10. 자녀와 소통 빈도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A10. 자녀와 소통 빈도 4) 영상 통화 (단수)
A10. 자녀와 소통 빈도 5) 식사 (단수)
A10. 자녀와 소통 빈도 6) 여가·취미활동 (단수)
A11. 자녀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복수)
A11. 자녀와 소통 여부 (소통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11. 자녀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소통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46. 자녀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 (복수)
A46. 자녀에 대한 정보 인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46. 자녀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47. 자녀와 함께 챙기는 기념일 (복수)
A47. 자녀와 함께 챙기는 기념일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47. 자녀와 함께 챙기는 기념일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48. 자녀와 기념일에 함께 해본 이벤트 (복수)
A48. 자녀와 기념일에 함께 해본 이벤트가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48. 자녀와 기념일에 함께 해본 이벤트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2. 자녀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복수)
A22. 자녀와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22. 자녀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3. 자녀에 대한 인식 1) 나는 자녀를 존중한다 (7점 척도)
A23. 자녀에 대한 인식 2) 나는 자녀를 신뢰한다 (7점 척도)
A23. 자녀에 대한 인식 3) 나는 자녀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24. 나에 대한 자녀의 인식 1) 자녀는 나를 존중한다 (7점 척도)
A24. 나에 대한 자녀의 인식 2) 자녀는 나를 신뢰한다 (7점 척도)
A24. 나에 대한 자녀의 인식 3) 자녀는 나에게 의지한다 (7점 척도)
A60. 자녀 육아 및 자녀 교육 관련 경험 (복수)
A60. 자녀 육아 및 자녀 교육 관련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60. 자녀 육아 및 자녀 교육 관련 경험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61. 최근 3년 내 자녀 육아 정보 탐색 빈도 (단수)
A62. 최근 3년 내 주로 찾아본 자녀 육아 정보 (복수)
A64. 최근 3년 내 자녀 육아 정보 탐색 채널·경로 (복수)
A72. 최근 1년 내 자녀 교육 정보 탐색 빈도 (단수)
A63. 최근 1년 내 주로 찾아본 자녀 교육 정보 (복수)
A65. 최근 1년 내 자녀 교육 정보 탐색 채널·경로 (복수)
A66. 본인 및 배우자 외 자녀 육아·교육 기여도가 높은 가족 구성원 (복수)
A66. 본인 및 배우자 외 자녀 육아·교육 기여도가 높은 가족 구성원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66. 본인 및 배우자 외 자녀 육아·교육 기여도가 높은 가족 구성원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67. 중고 구매보다 새 제품 구매를 선호하는 육아 용품 (복수)
A67. 육아 용품 구매 시, 새 제품 구매 선호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67. 중고 구매보다 새 제품 구매를 선호하는 육아 용품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68. 저렴한 제품보다 프리미엄 제품 구매를 선호하는 육아 용품 (복수)
A68. 육아 용품 구매 시, 프리미엄 제품 구매 선호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68. 저렴한 제품보다 프리미엄 제품 구매를 선호하는 육아 용품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69. 선물 받아본 육아 용품 (복수)
A69. 육아 용품을 선물 받아본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69. 선물 받아본 육아 용품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70. 선물 받으면 좋은 육아 용품 (복수)
A70. 선물 받으면 좋은 육아 용품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70. 선물 받으면 좋은 육아 용품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71. 육아 용품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인(KBF)
A17. 가족의 의미가 유지되기 위해서 중요한 조건
A18. 가족과의 친밀도 1) 할아버지(조부)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2) 할머니(조모)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3) 아버지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4) 어머니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5) 남자형제(형·오빠·남동생)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6) 여자형제(언니·누나·여동생)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7) 배우자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8) 자녀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9) 손주 (7점 척도)
A18. 가족과의 친밀도 10) 조카 (7점 척도)
A16. 가족과 함께 여가 시간을 보내는 방식 (복수)
A16. 가족과 여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지 여부 (여가 시간을 보내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16. 가족과 함께 여가 시간을 보내는 방식 (여가 시간을 보내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49. 부모님과 식당·맛집·카페 방문 시 중요 고려 요인
A50. 자녀와 식당·맛집·카페 방문 시 중요 고려 요인
A51. 가족과 여가 시간을 보낼 공간 정보 탐색 빈도 (단수)
A52. 가족 여가 공간 정보 탐색 채널·경로 (복수)
A53. 가족 여가 공간 정보 탐색 시, 가장 도움이 된 채널·경로
A54. 가족 여가 공간 선택 시, 키즈 프렌들리 시설·정책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정도 (7점 척도)
A55. 최근 1년 내 방문한 키즈 프렌들리 공간 (복수)
A55. 최근 1년 내 키즈 프렌들리 공간 방문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55. 최근 1년 내 방문한 키즈 프렌들리 공간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56. 키즈 프렌들리 공간 이용 시 추가 비용 지불 의향 (단수)
A57. 가정 생활 기여도 1) 가사 (7점 척도)
A57. 가정 생활 기여도 2) 집안 대소사 (7점 척도)
A57. 가정 생활 기여도 3) 가계 지출 관리 (7점 척도)
A57. 가정 생활 기여도 4) 가계 소득 (7점 척도)
A57. 가정 생활 기여도 5) 가계 재테크 (7점 척도)
A57. 가정 생활 기여도 6) 육아·교육 (7점 척도)
A58. 주도적으로 담당하는 가사 활동 (복수)
A58. 주도적으로 가사 활동에 참여하는지 여부 (참여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A58. 주도적으로 담당하는 가사 활동 (참여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A59. 가정 생활에서 주도적으로 소비를 결정하는 영역 (복수)
A59. 가정 생활에서 주도적으로 소비를 결정하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59. 가정 생활에서 주도적으로 소비를 결정하는 영역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8. 전반적인 가족 관계 만족도 (7점 척도)
A29. 가족 관계 중요도 (7점 척도)
A30. 가족 관계 유지 노력 정도 (7점 척도)
A31. 가족 관계를 유지 하기 위한 노력 (복수)


Part B 친구와의 소통 방식 및 관계에 대한 인식
B1. 친구로 생각하는(생각할 수 있는) 관계의 유형 (복수)
B18. 현재 가장 가깝게 지내는 친구 유형
B19. 성인이 된 후 새로운 친구를 사귄 경로 (복수)
B19. 성인이 된 후 새로운 친구를 사귄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B19. 성인이 된 후 새로운 친구를 사귄 경로 (없음 응답 제외, 복수)
B6. 친구와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B6. 친구와 소통 빈도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B6. 친구와 소통 빈도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B6. 친구와 소통 빈도 4) 영상 통화 (단수)
B6. 친구와 소통 빈도 5) 직접·대면 만남 (단수)
B20. 선배·연장자와 만남 시 비용 정산 방식 (단수)
B21. 적당한 친구·지인 경조사비 1) 생일 선물비 (주관식, 단위: 만 원)
B21. 적당한 친구·지인 경조사비 2) 결혼식 축의금 (주관식, 단위: 만 원)
B21. 적당한 친구·지인 경조사비 3) 직계가족 장례식 조의금 (주관식, 단위: 만 원)
B22. 친한 친구 최대 지불 가능 경조사비 1) 생일 선물비 (주관식, 단위: 만 원)
B22. 친한 친구 최대 지불 가능 경조사비 2) 결혼식 축의금 (주관식, 단위: 만 원)
B22. 친한 친구 최대 지불 가능 경조사비 3) 직계가족 장례식 조의금 (주관식, 단위: 만 원)
B13. 전반적인 친구 관계 만족도 (7점 척도)
B14. 친구 관계 중요도 (7점 척도)
B15. 친구 관계 유지 노력 정도 (7점 척도)
B16. 친구 관계 확장 노력 정도 (7점 척도)
B17. 친구 관계 축소 필요 정도 (7점 척도)


Part D 연인·애인·배우자와의 소통 방식 및 관계에 대한 인식 & 연애·결혼·출산에 대한 인식
D1. 연애 경험 및 현재 연애 중 여부 (단수)
D44. 배우자와 소통 빈도 1) 음성통화 (단수)
D44. 배우자와 소통 빈도 2) 모바일 메신저 (단수)
D44. 배우자와 소통 빈도 3) SNS 메시지·채팅 (단수)
D44. 배우자와 소통 빈도 4) 영상 통화 (단수)
D44. 배우자와 소통 빈도 5) 직접 만남·대면 데이트 (단수)
D45. 배우자와 일 평균 대화 시간(대면,통화,메신저 포함) (단수)
D46. 배우자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복수)
D46. 배우자와 소통 여부 (소통하지 않음 응답 구분, 단수)
D46. 배우자와 소통 시 이야기 주제 (소통하지 않음 응답 제외, 복수)
D47. 배우자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복수)
D47. 배우자와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47. 배우자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 주제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48. 연애 고민 해결 방법
D49. 배우자 관련 고민 해결 방식
D50. 전반적인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 (7점 척도)
D51. 배우자와의 관계 중요도 (7점 척도)
D38. 삶에 있어서 연애 필요 정도 (7점 척도)
D39. 연애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D40. 결혼 의향 (단수)
D41. 삶에 있어서 결혼 필요 정도 (7점 척도)
D42. 결혼 상대와의 만남 시 주요 고려 요소
D52. 늦어도 이 시기까지는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연령대 1) 남성 연령대 (단수)
D52. 늦어도 이 시기까지는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연령대 2) 여성 연령대 (단수)
D53. 결혼 준비를 위해 갖춰야 할 적정 자산 규모 (단수)
D54. 부모님과 자녀 결혼 비용 부담 비율 1) 부모님 (주관식, 단위: %)
D54. 부모님과 자녀 결혼 비용 부담 비율 2) 자녀(결혼 당사자) (주관식, 단위:%)
D55. 배우자와 본인 결혼 비용 부담 비중 1) 상대방(배우자) (주관식, 단위: %)
D55. 배우자와 본인 결혼 비용 부담 비중 2) 본인 (주관식, 단위:%)
D56. 현재 결혼 준비 정도 1) 경제적인 준비 (7점 척도)
D56. 현재 결혼 준비 정도 2) 정신적·정서적인 준비 (7점 척도)
D57. 실제로 챙기거나 경험한 결혼 의례·이벤트 (복수)
D57. 결혼 의례·이벤트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57. 실제로 챙기거나 경험한 결혼 의례·이벤트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58. 챙기고 싶은 결혼 의례·이벤트 (복수)
D58. 챙기고 싶은 결혼 의례·이벤트가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58. 챙기고 싶은 결혼 의례·이벤트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43. 삶에 있어서 자녀 필요 정도 (7점 척도)
D59. 늦어도 이 시기까지는 아이를 낳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연령대 1) 남성 연령대 (단수)
D59. 늦어도 이 시기까지는 아이를 낳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연령대 2) 여성 연령대 (단수)
D60. 자녀 양육을 위해 갖춰야 할 적정 연봉 수준(자녀 1명 기준, 부부 합산 연봉) (단수)
D61. 자녀 양육을 위해 갖춰야 할 적정 집 크기(자녀 1명 기준) (단수)
D62. 자녀 양육 준비에 대한 인식 - 육아 도움 환경 (7점 척도)
D64. 자녀 양육 준비에 대한 인식 1) 경제적 준비 (7점 척도)
D64. 자녀 양육 준비에 대한 인식 2) 정서적 준비 (7점 척도)
D63. 현재 자녀 양육 준비 정도 1) 경제적인 준비(유자녀 응답자는 자녀 출산 시점 기준 응답) (7점 척도)
D63. 현재 자녀 양육 준비 정도 2) 정신적·정서적인 준비(유자녀 응답자는 자녀 출산 시점 기준응답) (7점 척도)
D65. 자녀 출산·양육 시 우려되는 요소
D66. 도움되는 저출생(저출산) 정책
D67. 임신·출산을 준비하며 찾아본 콘텐츠 (복수)
D67. 임신·출산 관련 콘텐츠 탐색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67. 임신·출산을 준비하며 찾아본 콘텐츠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68. 가장 도움이 된 임신·출산 콘텐츠
D69. 실제로 챙기거나 경험한 출산 기념일·이벤트 (복수)
D69. 출산 기념일·이벤트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69. 실제로 챙기거나 경험한 출산 기념일·이벤트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70. 경험해보고 싶은 출산 기념일·이벤트 (복수)
D70. 출산 기념일·이벤트 경험 의향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70. 경험해보고 싶은 출산 기념일·이벤트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71. 자녀 희망 직업
D72. 최근 1년 내 초등학생 이하 아이 선물 구입 경험(본인 자녀 제외) (복수)
D72. 최근 1년 내 초등학생 이하 아이 선물 구입 경험 여부(본인 자녀 제외)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72. 최근 1년 내 초등학생 이하 아이 선물 구입 경험(본인 자녀 제외)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73. 아이 선물 평균 가격대(조카·손주·지인 아이) (단수)


Part E 전반적인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
E1. 전반적인 인간관계 만족도 (7점 척도)
E2. 인간관계 중요도 (7점 척도)
E3. 인간관계 유지 노력 정도 (7점 척도)
E4. 인간관계 확장 노력 정도 (7점 척도)
E5. 인간관계 축소 필요 정도 (7점 척도)
E6. 인간관계에 어려움을 느끼는 정도 (7점 척도)
E8.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도 (7점 척도)
E9.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한 노력 (복수)
E10. 인간관계의 어려움 극복을 위해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의향 정도 (7점 척도)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결혼 여부 (단수)
DQ2. 현재 가족 구성원 (복수)
DQ10. 자녀 수 (단수)
DQ3. 자녀 연령대 (복수)
DQ4. 함께 살고 있는 가족 (복수)
DQ5. 현재 직업 (단수)
DQ6.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7.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DQ8. 이용하는 SNS (복수)
DQ9. 가장 많이 이용하는 SNS (단수)



Contents No DP2023-08호
Summary 본 조사는 만 15~62세의 부모·자녀·친구·연인·배우자 간 커뮤니케이션 행태 및 관계 가치관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 세대 간(Z세대, 후기 밀레니얼 세대, 전기 밀레니얼 세대, X세대, 86세대) 비교를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이재흔 수석연구원 (연구책임)
이은재 수석연구원

관련 콘텐츠

패키지 상품으로 구매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패키지 상품 보기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