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정기조사 데이터

[데이터] 가치관 정기조사 2024

2024.05.29
6,370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30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1월부터 정기조사 데이터와 기획조사 데이터로 변경되었으며, 본 데이터는 정기조사 데이터입니다.

 연구자료 개편 안내 보기


MBTI 검사와 퍼스널 컬러, 유전자 분석까지! 자신의 성향과 취향을 탐구해 나가며 셀프 분석에 진심인 Z세대는 본인 스스로를 어떻게, 얼마나 이해하고 있을까요? Z세대가 삶에서 반드시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번 조사에서는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법부터 평균에 대한 인식, 행복한 삶의 기준까지 세대별로 자아와 사회, 국가·세계, 전반적인 삶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이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습니다.


✅ 이번 연구자료에서 주목할 만한 데이터는?


🙆 세대별 스스로를 이해하는 방법

· 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전문기관 심리검사(24.9%), 퍼스널 컬러·스타일링 등 분석(19.5%), 전문가와 심리상담(16.2%)처럼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음

· 후기 밀레니얼은 취향 및 성향 탐색(51.7%), 심리테스트(51.3%), 전문기관 심리검사(23.5%) 등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취향, 심리 파악에 중점을 둔 활동의 경험률이 비교적 높음

· 86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스스로를 돌아보기(69.9%), 명상(36.5%), 종교 활동(29.4%)과 같이 스스로 멘탈을 관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함


🎨 삶에서 반드시 갖춰야 하는 것 VS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것

· 삶에서 반드시 갖춰야 하는 것으로 Z세대는 멘탈·정신력(60.7%)을, 다른 세대는 공통적으로 ‘건강’을 꼽음 (후기 밀레니얼 65.0%, 전기 밀레니얼 63.7%, X세대 72.3%, 86세대 78.0%) 

· 연령이 낮은 세대일수록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뚜렷한 취향’을 갖춰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음 (Z세대 19.0% > 후기 밀레니얼 15.3% > 전기 밀레니얼 13.7% > X세대 9.0% > 86세대 7.3%)

·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모든 세대에서 ‘자차(본인 명의의 차)’가 1위로 나타남 (Z세대 28.3%, 후기 밀레니얼 23.4%, 전기 밀레니얼 28.5%, X세대 30.5%, 86세대 26.5%)

· 그 다음으로 Z세대는 연인·애인(20.8%), 후기 밀레니얼X세대는 사회적 지위(21.4%, 22.5%), 전기 밀레니얼86세대는 뚜렷한 취향(19.5%, 23.8%)을 꼽음


*본 데이터는 파트 번호 및 문항 번호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없는 번호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오류가 아닙니다.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Part A 자신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A10. 자기 이해 중요도 (7점 척도)
A11. 자기 이해 노력정도 (7점 척도)
A16.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해본 노력 (복수)
A16.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6.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해본 노력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7. 최근 1년 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한 노력 (복수)
A17. 최근 1년 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7. 최근 1년 내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한 노력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8.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해볼 의향이 있는 행동 (복수)
A18.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 의향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18.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해볼 의향이 있는 행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29.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이용해본 제품·서비스 (복수)
A29.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제품·서비스 이용 경험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29.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이용해본 제품·서비스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5. 스스로 생각하는 자존감 수준 (7점 척도)
A30. 삶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1) 나 자신, 자아에 대한 만족 (7점 척도)
A30. 삶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2) 진로/직업 (7점 척도)
A30. 삶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3) 경제적 환경 (7점 척도)
A30. 삶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4) 가정생활 (7점 척도)
A30. 삶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5) 인간관계 (7점 척도)
A30. 삶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6) 여가 (7점 척도)
A30. 삶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7) 연애, 성 (7점 척도)
A31. 스스로에 대해 만족하는 요소 (복수)
A31. 스스로에 대해 만족하는 요소가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31. 스스로에 대해 만족하는 요소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32. 스스로에 대해 불만족하는 요소 (복수)
A32. 스스로에 대해 불만족하는 요소가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32. 스스로에 대해 불만족하는 요소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1) 나는 육체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2) 나는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3) 나는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다 (7점 척도)
A19. 육체·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 4) 나는 정신적으로 여유가 있다 (7점 척도)
A20. 최근 1개월 내 심각하게 걱정·고민한 것 (복수)
A20. 최근 1개월 내 심각하게 걱정·고민한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A20. 최근 1개월 내 심각하게 걱정·고민한 것 (없음 응답 제외, 복수)
A33. 최근 가장 심각하게 걱정·고민한 것 (단수)

Part C 사회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C21. 향후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더 나아질 거라고 생각하는 정도 (7점 척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4순위
C1. 관심 있는 사회 분야 - 1+2+3+4+5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4순위
C2.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 분야 - 1+2+3+4+5순위
C3.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식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복수)
C3.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식 수준에 만족하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식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4. 우리나라 제도 및 인프라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복수)
C4. 우리나라 제도 및 인프라 수준에 만족하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4. 우리나라 제도 및 인프라 수준에 만족하는 분야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5. 향후 우리나라 수준 및 환경이 더 나아질 것 같은 사회 분야 (복수)
C5. 향후 우리나라 수준 및 환경이 더 나아질 것 같은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5. 향후 우리나라 수준 및 환경이 더 나아질 것 같은 사회 분야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1) 우리 사회는 정의로운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2) 우리 사회는 평등한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3) 우리 사회는 공정한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4) 우리 사회는 자유로운 사회다 (7점 척도)
C6.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5) 우리 사회는 다양성이 인정받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1) 노력하는 만큼 보상이 돌아오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2) 실패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3)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4) 기회의 격차를 보완할 제도·장치가 잘 마련된 사회다 (7점 척도)
C17. 우리 사회에 대한 인식 및 평가 5) 누구나 계층 상승을 할 수 있는 사회다 (7점 척도)
C22. 복지에 대한 인식 - 동등한 복지 vs 차등적인 복지 (7점 척도)
C23. 공정에 대한 인식 - 차등적인 기회 vs 동등한 기회 (7점 척도)
C24. 교육에 대한 인식 - 동등한 교육 vs 차등적인 교육 (7점 척도)
C25. 소득의 분배에 대한 인식 - 사회와 나눠야함 vs 사회와 나눌 필요 없음 (7점 척도)
C26. 소득에 대한 인식 - 개인의 환경·조건에 달림 vs 개인의 능력·노력에 달림 (7점 척도)
C27. 경쟁에 대한 인식 - 사회 격차 심화 vs 사회 발전 촉진 (7점 척도)
C28. 정부 역할에 대한 인식 - 정부 적극 관여 vs 최대한 민간 참여 (7점 척도)
C29. 자유에 대한 인식 - 공공의 이익 우선 vs 개인의 자유 우선 (7점 척도)
C30. 저출생(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31. 교육 격차와 돌봄 공백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32. 디지털 격차·소외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40. 문해력·소통 능력 저하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41. 사회적 고립·소외 문제가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 (7점 척도)
C8. 최근 1년 내 사회 이슈와 관련하여 참여한 활동 (복수)
C8. 최근 1년 내 사회 참여 경험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8. 최근 1년 내 사회 이슈와 관련하여 참여한 활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1) 나의 참여로 사회가 바뀔 수 있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2) 사회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야한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3) 사회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내야한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4) 1년 전보다 사회 참여 방법과 통로가 다양해졌다 (7점 척도)
C9. 사회 참여에 대한 인식 5) 1년 전보다 나와는 다른 의견이나 생각도 존중받는 분위기다 (7점 척도)
C33. 정서적·심리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3. 정서적·심리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3. 정서적·심리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4. 육체적인 건강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4. 육체적인 건강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4. 육체적인 건강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5. 가사·돌봄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5. 가사·돌봄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5. 가사·돌봄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6. 경제적·금전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6. 경제적·금전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6. 경제적·금전적 문제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7. 긴급·재해 상황으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복수)
C37. 긴급·재해 상황으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대상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C37. 긴급·재해 상황으로 어려울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대상 (없음 응답 제외, 복수)
C38. 우리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1) 우리나라 사람들은 외국인에게 친화적이다 (7점 척도)
C38. 우리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2) 우리 사회는 외국인이 융화되기 좋은 사회다 (7점 척도)
C38. 우리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3) 우리 사회는 외국인이 차별이 다른 나라보다 심하다 (7점 척도)
C16. 우리나라는 갈등이 심하다는 의견 동의 정도 (7점 척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순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2순위
C16-1. 우리 사회에서 갈등이 심한 영역 - 1+2+3순위

Part D 국가 및 세계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1)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2) 우리나라에서 계속 살고 싶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3) 우리나라의 국민인 것이 자랑스럽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4) 우리나라가 잘돼야 나도 잘된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5) 우리나라가 위기일 때 나도 힘을 보태야 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6) 애국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7점 척도)
D1. 우리나라 및 애국심에 대한 인식 7) 우리나라의 국익을 위해 나의 이익을 희생할 수 있다 (7점 척도)
D2. 애국심을 느끼는 상황 - 1순위
D2. 애국심을 느끼는 상황 - 1+2순위
D2. 애국심을 느끼는 상황 - 1+2+3순위
D3.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국가 (복수)
D3.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국가가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3. 선진국이라고 생각하는 국가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13.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인정받고 있는 사회 분야 (복수)
D13.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인정받고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D13.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인정받고 있는 사회 분야 (없음 응답 제외, 복수)
D14.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선진적이라고 가장 인정받고 있는 사회 분야 (단수)
D5. 주변국 인식 1) 미국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2) 중국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3) 일본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4) 러시아 (7점 척도)
D5. 주변국 인식 5) 북한 (7점 척도)

Part E 삶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E1.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 (7점 척도)
E31. 행복한 삶의 기준 - 1순위
E31. 행복한 삶의 기준 - 1+2순위
E31. 행복한 삶의 기준 - 1+2+3순위
E32. 실패에 대한 인식 1) 실패를 하더라도 일단 시도해봤다는 사실에 만족한다 (7점 척도)
E32. 실패에 대한 인식 2) 나는 실패하더라도 충분히 다시 시도 할 수 있다 (7점 척도)
E33.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복수)
E33.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갖춰야 하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E33.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반드시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없음 응답 제외, 복수)
E34.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갖추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 (복수)
E34.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갖추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E34.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갖추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 (없음 응답 제외, 복수)
E29. 평균에 대한 인식 1) 집안의 경제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2) 본인의 경제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3) 본인의 학력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4) 본인의 외모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5) 본인의 능력 수준 (5점 척도)
E29. 평균에 대한 인식 6) 본인의 인맥 수준 (5점 척도)
E35. 만족스러운 삶을 위한 여가·취미활동 횟수 1) 연 평균 국내 여행 횟수 (주관식, 단위: 회)
E35. 만족스러운 삶을 위한 여가·취미활동 횟수 2) 연 평균 해외 여행 횟수 (주관식, 단위: 회)
E35. 만족스러운 삶을 위한 여가·취미활동 횟수 3) 월 평균 맛집 방문 횟수 (주관식, 단위: 회)
E35. 만족스러운 삶을 위한 여가·취미활동 횟수 4) 월 평균 문화생활 횟수 (주관식, 단위: 회)
E35. 만족스러운 삶을 위한 여가·취미활동 횟수 5) 월 평균 친구/지인 만남 횟수 (주관식, 단위: 회)
E30. 노후에 대한 인식 1) 생산적인 활동을 지속하며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30. 노후에 대한 인식 2) 금전적으로 안정된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30. 노후에 대한 인식 3) 정신적으로 여유 있는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30. 노후에 대한 인식 4) 주변 지인들과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며 노후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7점 척도)
E36. 행복한 노후를 위해 현재 실천하고 있는 행동 (복수)
E36. 행복한 노후를 위해 현재 실천하고 있는 행동이 있는지 여부 (없음 응답 구분, 단수)
E36. 행복한 노후를 위해 현재 실천하고 있는 행동 (없음 응답 제외, 복수)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1) 혼전동거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2) 비혼주의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3) 딩크족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4) 분자가족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5) 대안교육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6) 비건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7) 비혼출산 (7점 척도)
E14. 다양한 삶의 방식 이해 정도 8) 동성결혼 (7점 척도)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2. 결혼 여부 (단수)
DQ3. 자녀·손자 여부 (복수)
DQ4. 함께 살고 있는 구성원 (복수)
DQ5.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6.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DQ9. 정치성향 (단수)


Contents No 정기조사 데이터 2024-I-01-01
Summary 본 조사는 15~63세의 자아·사회·국가·세계·삶에 대한 인식 및 가치관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과 세대 간(Z세대, 후기 밀레니얼 세대, 전기 밀레니얼 세대, X세대, 86세대) 비교를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이재흔 파트장(연구책임)
이은재 파트장
김유라 연구원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