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칼럼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연령별 소비 데이터와 2030 남성들의 뷰티 제품 이용 현황

2024.12.17 1,897




이번달엔는 식음료, 의류 등 품목에 따른 구매 채널과 가격, 품질, 기능 등 총 13개 소비 가치에 대한 연령대 및 세대별 인식, 평소 소비 습관과 월 평균 지출 행태를 살펴본 [데이터] 소비지출 정기조사 20242030 남성들의 외모 관리에 대한 인식 및 뷰티 제품 이용 행태를 알아보기 위한 [데이터] 2030 맨즈 뷰티 기획조사 2024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해당 데이터의 주요 결과를 정리해 <2030 남성의 외모 관리 및 뷰티 제품 이용 행태> 보고서로 발행했습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볼까요?









사람들은 식품이나 음를 어디에서 살까요? 이번 조사 결과, 대형마트(39.5%)가 1위였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최근 6개월 내 화장품, 생활용품, 인테리어 소품, 디지털IT기기, 생활가전 등의 품목을 주로 구매한 채널은 공통적으로 종합 온라인 쇼핑몰로 나타났는데요.


반면, 10대(15~18세)의 식음료 구매 채널은 편의점(46.9%)이 압도적인 1위였습니다. 2위인 소형마트·슈퍼마켓(29.6%)과의 격차가 큰 편이었는데요. 다이소 등의 생활용품 샵(14.8%)에서 식음료를 구매해 본 비율도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습니다.


10대와 20대는 의류나 의류잡화를 구매할 때 무신사, 29CM 등의 온라인 편집숍을 이용해 본 비율(각 42.0%, 42.1%)이 다른 채널에 비해 크게 두드러졌어요. 10대는 중고거래 앱·커뮤니티(18.5%)를 이용해 본 비율도 세대 중 가장 돋보였고요.


이번 조사에서 품목별 구매 채널뿐만 아니라 가격, 품질, 기능 등 총 13개 소비 가치에 대한 연령대 및 세대별 인식, 평소 소비 습관과 월 평균 지출 행태 등을 확인해 보세요.


✅ 이번 연구자료에서 주목할 만한 데이터는?


💰 소비를 줄이는 항목과 아끼지 않고 투자하는 항목

· 19세 이상 성인이 지난해와 비교해 소비를 줄이고 있는 항목식비(44.0%) > 의류·의류잡화·화장품·이미용비(39.6%) > 여가비(37.3%) 

· 다만 평소 아끼지 않고 투자하고 있는 항목 1위도 식비(29.0%)로 나타났으며, 교육비·학습비·자기계발비(16.1%), 의료비(14.4%)가 뒤를 이음

· 20대는 식비(30.0%) 다음으로 여가비(20.5%)에 아끼지 않고 투자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연령대 대비 높게 나타남


💭 세대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 가치

· 모든 세대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소비 가치 1순위는 ‘효능, 성능 등의 기능 우선’

· 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저렴한 가격(76.9%)’, ‘취향, 취미, 덕질(75.7%)’, ‘디자인, 컬러 등 제품 외형(73.1%)’ 등의 가치도 중요하게 여김

· X세대‘안정성, 안전성, AS 등의 품질(86.8%)’ ‘재능, 노력, 자립 혁신성 등에 대한 지지·응원(46.7%)’, ‘사회적 이슈에 따른 구매운동·불매운동 실천(46.7%)’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율이 세대 중 가장 높음









스완, 이사배, 깡스타일리스트...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2030 남성들이 많이 참고하는 뷰티 인플루언서라는 점입니다. 최근 ‘맨즈 뷰티’ 시장이 커지면서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뷰티 브랜드나 콘텐츠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글로벌 트렌드 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서는 올해 국내 남성 화장품 시장 규모를 약 1조 2000원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번 기획조사는 스스로 외모 관리를 한다고 생각하는 2030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이들은 앞서 언급한 인플루언서를 좋아하는 이유로 ‘실제로 활용하기 좋은 정보를 제공해서(37.9%)‘를 꼽았는데요. 남성들도 뷰티 콘텐츠를 이용하고 실생활에 참고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 2030 남성의 58.5%는 뷰티를 포함해 운동·헬스, 패션·데일리룩 등 외모 관리 콘텐츠를 일주일에 최소 한 번 이상 이용하고 있었어요.

 

외모에 신경 쓰는 2030 남성은 어떤 방법으로 외모 관리를 하고 있을까요? 이용하는 뷰티 제품, 선호하는 브랜드, 제품 구매 시 이용하는 채널 등 남성들의 외모 관리에 대한 인식과 뷰티 제품 구매 및 이용 행태 전반을 알아봤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 이번 연구자료에서 흥미로운 데이터


🧑🏻 2030 남성의 화장품 및 뷰티 제품 구매 행태

· 2030 남성은 화장품 및 뷰티 제품 구매 시 온라인에서는 쿠팡, 네이버쇼핑 등 ‘종합 온라인 쇼핑몰(26.6%)’을, 오프라인에서는 올리브영 등 ‘H&B스토어(19.1%)’를 자주 이용함

· 종합 온라인 쇼핑몰은 ‘배송이 빠르고 정확해서(44.1%)’, 오프라인 H&B스토어는 ‘방문이 편리해서(41.2%)’ 선호함

· 제품 구매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일반인의 구매·이용 후기(24.4%)’이며, 구매 시 가장 아쉬운 점은 ‘참고할 만한 남성 이용자의 후기 부족(46.6%)’을 꼽음


📖 💇🏻‍♂️ 연령별로 이용하는 제품·브랜드에 차이가 있다?

· 2030 남성이 가장 선호하는 스킨케어 브랜드메이크업 브랜드 1위는 모두 ‘닥터지(Dr.G)’로, 남성 소비자 사이에서 인지도와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보임

· 헤어 스타일링 시 20대 초반컬 크림(22.5%)헤어 토닉·헤어 오일(23.5%)을, 30대 초반헤어 왁스·포마드(40.5%)를 다른 연령대보다 많이 이용함

· 선호하는 헤어케어 브랜드 1위는 ‘다슈(13.2%)’로, 20대 초반의 이용률(24.1%)은 비교적 높지만 20대 후반(14.4%), 30대 초반(9.1%), 30대 후반(5.1%)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이용률이 낮아짐








<2030 남성의 외모 관리 및 뷰티 제품 이용 행태> 보고서에서는 ‘2030 맨즈 뷰티 기획조사 2024’의 주요 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정리하고, 해석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 외모에 신경 쓰는 사람’의 관리 범위

· 스킨케어 제품 이용 시 고려 요소

· 외모에 신경 써야 하는 날 이용하는 메이크업 제품

· 가장 선호하는 헤어케어 제품 브랜드

· 뷰티 관련 가장 많이 참고하는 인플루언서


Contents No SC2024-66호
Summary ✔ 연령별 소비 행태 및 습관, 소비 성향 데이터
✔ 2030 남성의 외모 관리 및 뷰티 제품 이용 행태
Project Manager 김혜리 파트장
김다희 선임디자이너
김성욱 매니저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