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
발행연도
~
자료유형
데이터
다시 보고 싶은 콘텐츠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데이터플러스

[데이터플러스] 소비-뷰티(스킨케어)(2021년 4월)

2021.04.23
4,265
제공형태
엑셀
판매가
500,000원
50%
250,000원
  • 결제 취소는 결제일로부터 7일 이내만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콘텐츠 이용약관상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다운로드 시작 포함) 구매 취소하거나 환불받을 수 없습니다.
  • 가공되지 않은 원자료(raw data)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위 파일은 샘플입니다.
아이콘 클릭 시 프레젠테이션 모드를 이용해 전체화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플러스는 '성별, 연령, 세대, 거주지역, 직업, 경제활동 유무, 반려동물 유무, 가구구성, 소득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지만,

본 조사는 '결혼 유무', '피부 타입' 비교 결과도 포함함


2020년 MZ세대 여성의 베이스메이크업과 클렌징에 관한 조사에 이어, 이들의 스킨케어 제품 사용 행태를 조사했습니다. 특히 스킨·토너, 스킨케어 패드, 에센스·앰플·세럼, 그리고 스팟케어 제품의 사용 행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스킨케어 제품 하면 연상되는 브랜드 3순위를 조사했을 때, MZ세대 모두 ‘이니스프리’를 가장 먼저 떠올렸습니다. 그 뒤를 이어 Z세대와 후기 밀레니얼 세대는 ‘스킨푸드’와 ‘닥터지(Dr.G)’를, 전기 밀레니얼 세대는 ‘설화수’와 ‘헤라’를 떠올려, 2순위부터는 세대별로 차이를 보였습니다.

 

MZ세대 여성들이 현재 사용 중인 스킨·토너와 에센스·앰플·세럼의 제형을 조사해봤는데요. 스킨·토너는 점성이 있는 타입(31.1%)보다 물처럼 흐르는 워터타입(79.2%)을 월등하게 많이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반해 에센스·앰플·세럼의 경우에는, 물처럼 흐르는 워터타입(33.5%)보다 점성이 있는 타입 (78.4%)을 사용하는 이들이 훨씬 더 많았습니다. 이외에도 MZ세대는 어떤 제형을 선호하는지, 제형별로 어떤 방식으로 바르고 있는지 등의 자세한 내용은 자료에서 확인해 주세요!

 

코로나19 시대의 필수품, 마스크는 MZ세대의 스킨 케어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을까요? MZ세대 여성의 절반(49.3%)이 마스크 착용 이후 스킨 케어에 더 많이 신경 쓴다고 응답했습니다. 전보다 덜 신경 쓴다고 답한 비율은 15%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이와 함께 조사한 '마스크 착용 후 더/덜 신경 쓰는 제품'은 데이터 F8, F9 항목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함지윤 연구원


* 소비-뷰티(클렌징)(2020년 10월) 조사와 달리, 소비-뷰티(스킨케어)(2021년 4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대상 및 조사주제가 변경되었습니다.

- 조사대상 : 1981년~2005년생(만 15~39세)에서 1981년~2006년생(만 15~40세)으로 변경 (*설문조사 가능 연령인 만 15세를 고려하여 2006년생 추가됨) 

- 조사주제 : 소비-뷰티(2020년 10월) 클렌징 → 소비-뷰티(2021년 4월) 스킨케어


PART SQ. 응답자 기본 정보
SQ1. 성별 (단수)
SQ2. 연령 (단수)
SQ3. 현재거주지역 (단수)


PART A. 이용 스킨케어 제품 및 사용 행태
A1. 스킨케어 제품 브랜드 최초상기도 (주관식, 1개)
A1. 스킨케어 제품 브랜드 비보조상기도 (주관식, 최대3개)
A2-1. 아침 스킨케어 제품 사용 빈도 (단수)
A2-2. 저녁 스킨케어 제품 사용 빈도 (단수)
A3. 한 번이라도 사용해 본 스킨케어 제품 (복수)
A4. 현재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복수)
A5. 현재 사용 스킨케어 제품 개수 (주관식)

1) 스킨/토너 2) 패드 3) 로션/에멀젼 4) 에센스/앰플/세럼 5) 크림 6) 페이스오일 7) 아이크림 8) 스팟케어 9) 마스크/팩 10) 미스트 

A6. 아침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종류 (복수)
A6. [사용 제품 개수] 아침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단수)
A6. 아침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조합 - 1개 (단수)
A6. 아침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조합 - 2개 / 3개 / 4개 / 5개 (복수)
A7. 아침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중 중요 제품 (단수)
A8. 저녁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종류 (복수)
A8. [사용 제품 개수] 저녁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단수)
A8. 저녁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조합 - 1개 (단수)
A8. 저녁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조합 - 2개 / 3개 / 4개 / 5개 / 6개 / 7개 (복수)
A9. 저녁에 주로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중 중요 제품 (단수)
A10. 스킨케어 제품 사용 빈도 (단수)

1) 스킨/토너 2) 패드 3) 로션/에멀젼 4) 에센스/앰플/세럼 5) 크림 6) 페이스오일 7) 아이크림 8) 스팟케어 9) 마스크/팩 10) 미스트 

A11. 스킨케어 제품 사용 시 기대 효과 및 기능
A12. 스킨케어 제품 주 사용 방법 (단수)
A13. 스킨케어 제품 사용 시 가장 신경쓰는 부위 (단수)
A14. 현재 사용 스킨케어 제품 만족도 (5점척도)

1) 스킨/토너 2) 패드 3) 로션/에멀젼 4) 에센스/앰플/세럼 5) 크림 6) 페이스오일 7) 아이크림 8) 스팟케어 9) 마스크/팩 10) 미스트

 
PART B. 주요 스킨케어 제품 브랜드 인지도 및 사용/구매 행태
B1. 스킨/토너 브랜드 최초상기도 (주관식, 1개)
B2. 스킨/토너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인(KBF)
B3. 스킨/토너 사용 시 기대 효과 및 기능
B4. 선호 스킨/토너 제형 (5점척도)
B5. 현재 사용 스킨/토너 제형 (복수)
B6. 물처럼 흐르는 워터타입의 스킨/토너 사용방식 (복수)
B7. 점성이 있는 스킨/토너 사용방식 (복수)
B8. 스킨/토너 주 구매 용량대 (단수)
B9. 스킨/토너 적당한 용량대 (단수)
B10. 스킨/토너 주 구매 평균 가격대 (단수)
B11. 스킨/토너 적당한 가격대 (단수)
B12. 스킨케어 패드 브랜드 최초상기도 (주관식, 1개)
B13. 스킨케어 패드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인(KBF)
B14. 스킨케어 패드 사용 시 기대 효과 및 기능
B15. 현재 사용 스킨케어 패드 유형 (복수)
B16. 스킨케어 패드 주 사용 단계 (단수)
B17. 스킨케어 패드 주 구매 평균 가격대 (단수)
B18. 스킨케어 패드 적당한 가격대 (단수)
B19. 에센스/앰플/세럼 브랜드 최초상기도 (주관식, 1개)
B20. 에센스/앰플/세럼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인(KBF)
B21. 에센스/앰플/세럼 사용 시 기대 효과 및 기능
B22. 선호 에센스/앰플/세럼 제형 (5점척도)
B23. 현재 사용 에센스/앰플/세럼 제형 (복수)
B24. 물처럼 흐르는 워터타입의 에센스/앰플/세럼 사용방식 (복수)
B25. 점성이 있는 에센스/앰플/세럼 사용방식 (복수)
B26. 에센스/앰플/세럼 제품의 선호 용기 (단수)
B27. 에센스/앰플/세럼 중 가장 선호하는 제품 (단수)
B28. 에센스/앰플/세럼 주 구매 용량대 (단수)
B29. 에센스/앰플/세럼 적당한 용량대 (단수)
B30. 에센스/앰플/세럼 주 구매 평균 가격대 (단수)
B31. 에센스/앰플/세럼 적당한 가격대 (단수)
B32. 스팟케어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인(KBF)
B33. 현재 사용 스팟케어 형태 (복수)
B34. 스팟케어 주 사용시기 (단수)
B35. 스팟케어 주 구매 평균 가격대 (단수)
B36. 스팟케어 적당한 가격대 (단수)


PART C. 스킨케어 제품 구매 행태
C1. 스킨케어 제품 구매 빈도 (단수)
C2. 스킨케어 제품 구매 결정 전 후보 제품 개수 (구매 고려군 개수) (단수)
C3. 스킨케어 제품 주 구매 방식 (단수)
C4. 스킨케어 제품 주 구매 채널 (복수)
C5. 스킨케어 제품 최선호 구매 채널 (단수)
C6. 오프라인 구매처 선호 이유 (복수, 최대3개)
C7. 온라인 구매처 이용 방식 (단수)
C8. TV 홈쇼핑 구매처 선호 이유 (복수, 최대3개)
C9. 온라인 구매처 선호 이유 (복수, 최대3개)
C10. 라이브 커머스 시청 경험 여부 (단수)
C11. 라이브 커머스 시청 관련 행동 유형 (복수)


PART D. 스킨케어 제품 정보 탐색 행태
D1. 스킨케어 제품 관련 정보 최초 인지 채널 (복수)
D2. 스킨케어 제품 관련 정보 적극 탐색 채널 (복수)
D3. 스킨케어 제품 구매 결정 영향 채널 (단수)
D4. 스킨케어 제품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D4. 스킨케어 제품 구매 결정 영향 콘텐츠 By 채널별
D5. 스킨케어 제품 구매 결정 유형 (단수)
D6. 스킨케어 제품 소비 가치 (7점척도)

1) 가격 우선 2) 자극 유발, 인체 무해성 등 안전성 우선 3) 유효 성분, 천연, 효능·효과 등 기능 우선 4) 마무리감, 타입 등 사용감 우선 5) 디자인, 패키지 등 제품 외형 우선 6) 사용하기 편리한 것 우선 7) 흔하거나 구매 간편 등 구매 접근성 우선 8) 사용 후기, 주변 추천 등 검증된 제품 우선 9) 잘 알려져 있고 사람들이 많이 쓰는 브랜드 우선 10) 환경, 동물, 기부, 공정무역 등 신념 우선 11) 즉각적 만족, 보상 심리 등 소비행위 만족감 우선 12) 취향, 취미, 덕질 우선 13) 재능, 노력, 자립, 혁신성 등 지지·응원 우선 14) 사회 이슈 기반 구매운동·불매운동 실천 우선 15) 시간·체력 절약, 스트레스 감소 등 편의 우선 16) 인증하거나 보여줄 만한 가치 우선 

D7. 스킨케어 제품 구매 결정 시 고려하는 브랜드 이미지 (복수)
D8. 스킨케어 제품 만족 시 사후 행동 (복수)
D9. 스킨케어 제품 불만족 시 사후 행동 (복수)


PART E. 스킨케어 제품과 피부 건강
E1. 스킨케어 제품 주 사용 이유 (단수)
E2.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도 (5점척도)
E3. 스킨케어 제품 성분 중요도 (5점척도)
E3-1. 스킨케어 제품 성분 중요한 이유 (단수)
E3-2. 스킨케어 제품 성분 중요하지 않은 이유 (단수)
E4. 스킨케어제품 성분 중시 유형 (단수)
E4. 스킨케어 제품의 1) 유효성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중 (주관식)
E4. 스킨케어 제품의 2) 유해성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비중 (주관식)
E5. 스킨케어 제품 성분 이해도 (5점척도)
E6. 피부에 유효하다고 생각하는 성분 유무 (단수)
E6-1. 피부에 유효하다고 생각하는 성분 (복수)


PART F. 스킨케어 제품 관련 주요 이슈
F1. 클린뷰티 인지도 (단수)
F2. 클린뷰티에 대한 호감도 (5점척도)
F3. 클린뷰티 제품 구입 경험 여부 (단수)
F4. 클린뷰티 제품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클린뷰티 요소
F5. 클린뷰티 제품 구매 의향 (5점척도)
F6. 최근 마스크 착용 빈도 (단수)
F7. 마스크 착용 이후 스킨케어 제품 사용 빈도 변화 (5점척도)
F8. 마스크 착용 이후 더 신경쓰는 스킨케어 제품 (복수)
F9. 마스크 착용 이후 덜 신경쓰는 스킨케어 제품 (복수)


PART DQ. 응답자 기본 정보
DQ1. 현재 직업 (단수)
DQ2. 결혼 여부 (단수)
DQ3. 함께 살고 있는 가족 (복수)
DQ4. 월 평균 가구 소득 (단수)
DQ5. 월 평균 본인 소득 (단수)
DQ6. 현재 피부 타입 (단수)
DQ7. 현재 피부 고민 (복수)


Contents No DP2021-3호
Summary 본 조사는 만 15~40세 여성의 뷰티 제품 중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및 소비 행태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함
Project Manager 함지윤 연구원 (연구책임)
이은재 수석연구원
문의하기 보고서 안내 멤버십 안내